본문 바로가기

IT 상식

기본 개발 용어 알아보기 #1

처음 쓰는 IT 상식

1. 디버그, 디버깅

 프로그래밍에 쓰이는 시간의 80% 이상은 디버깅에 사용된다.

 * 디버깅이란 -> 소프트웨어으에 발생하는 문제의 원인을 찾는 것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그러나 꼭 프로그램에 무슨 문제가 터졌을 때만 하는 것이 아님! 

( 기능이 많을수록 코드도 복잡하기 때문에 만드는 과정중에 갖은 오류들이 발생 )

 '디버그'란 단어는 (뒤에 나올) 배포와 대비

   디버그 <-> 배포

      즉, 디버그(개발중)

 

초창기 컴퓨터는 기계에 벌레가 들어가서 고장을 일으키긴 했는데 이 벌레, BUG를 찾아 치우는 일에서 debugging이 류유래함

 

2. 컴파일러 vs 인터프리터

 

컴퓨터는 0과 1이란 신호들을 사용하여 돌아감. 

이러한 어려운 신호들을 짜기엔 힘들기 때문에 오늘 날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램 언어들로 손쉽게 코딩을 할수있다.

그러나 기계들은 이 코드들을 알아보지 못하기 때문에 중간중간에 번역해주는 작업이 필요함!

  이 때! 1) 중간에 미리 번역을 해놓으면 컴파일러

           2) 그때그때 작업을 번역하면 인터프리터

 1) 컴파일 -> 프로그램언어들은 개발자가 코딩을 마치고 완성된 프로그램을 출시하는 단계에서 컴퓨터에서 일을 하나 시킨다. 이 일을 컴파일

 

'컴파일러'라 불리는 번역가(프로그램)가, 컴퓨터에게 건내줄 책을 미리 컴퓨터의 언어로 번역 작업하는 것

ex) 자바 코드 

  자바 언어로 코드를 작성하고 컴파일러에 명령을 내리면 이처럼 class 란 확장자를 가진 파일이 생긴다

. class 파일은 자바 가상 머신(JVM)이라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모든 종류의 기계에서 통용되는 기계 언어에요.

프로그래머는 자바 언어로 짠 코드를 이 JVM용 언어로 번역시킨 뒤 이 기계들에 보내서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도록 하는 것

2)인터프리터 -> 프로그래머가 쓴 책을 그대로 가져가서 그때그때 통역사가 읽어주는 언어들

ex)자바스크립트,파이썬,루비 ( 다른 말로 '스크립트'언어)

 

3. 빌드

개발자가 작업하는 프로젝트는 일반적으로 수십, 수백개가 넘는 폴더와 파일들로 이뤄져 있다. (개발자의 편의성)

이 많은 파일,이미지,등등을 다른 형태로 변형 또는 압축하는 것

 

4. 배포 

코딩해서 빌드한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과정

 

5. 환경변수

'환경'이란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공간 => 소프트웨어가 깔린 '컴퓨터'

환경'변수'란 그 컴퓨터마다 지정된 값 

 

 

 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비전공자다보니까 용어를 너무 몰라서 이렇게 하루씩이라도 올려보자..

 

.)나중에 다시 세세하게 정리할 것!

'IT 상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rqParams, rqBaseTypeAttrs 변수에 대한 설명  (0) 2021.07.20